▣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효순(韓孝純) 항목 관련 기사
|
|
본문(本文)
[정의] 1543(중종 38) ~ 1621(광해군13).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면숙(勉淑), 호는 월탄(月灘),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상경(尙敬)의 후손으로, 사무(士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승원(承元)이고, 아버지는 여필(汝弼)이며, 어머니는 유엄(柳淹)의 딸이다.
[내용] 1568년(선조 1) 생원이 되고, 1576년 식년문과 병과로 급제, 검열 . 수찬을 거쳐 1584년 영해부사에 임명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8월 영해에서 왜군을 격파하고 경상좌도 관찰사에 승진, 순찰사에 겸임해 동해안 지역을 방비하며 군량조달에 공을 세웠다.
1594년 병조참판, 1596년 경상도 . 전라도 . 충청도의 체찰부사(體察副使)가 되었다. 그 해 한산도무과(閑山島武科)에 시관으로 참여하고, 통제사 이순신(李舜臣)과 함께 수군강화에 힘썼다. 그 뒤 지중추부사가 되었다가 남해 지역의 도순찰사로 해상군비강화에 계속 노력하였다.
1598년 전라도관찰사로 병마수군절도사를 겸하였다. 이듬해 전라좌수사 이순신 막하의 전선감조군관(戰船監造軍官)으로 있으면서 거북선 건조에 공이 많았던 나대용(羅大用)의 건의를 받아들여 거북선 모양의 소형 무장선인 창선(창선) 25척을 건조 하도록 하였다. 1064년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다음해 평안도관찰사. 판중추부사 등을 거쳐, 1606년 우찬성. 판돈령부사 등을 역임하였다.1610년(광해군 2) 다시 이조판서를 역임한 뒤, 1616년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올랐다.
이듬해는 이이첨을 중심으로 한 폐모론이 일자 이항복(李恒福). 기자헌(奇自獻) 등과함께 이를 피하려 하였다. 그는 폐모 문제를 피하기 위해 수차례관직을 사직하려 하였으나, 받아드려 지지 않았다. 1618년 당시 우의정 이었던 그는 이이첨 등 폐모론 주동자들의 공포분위기에서 정승이라는 위치 때문에 어쩔 수없이 인목대비를(仁穆大妃)를 폐출, 유폐시키는 사건에 형식적 가담자로 휘말리는 신세가 된 것이다. 그 뒤 판중추부사로 졸 하였다. 경기 광주군 돌마면 서현리에 안장 되었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후 관직이 추탈되었으나, 1908년 신원되어 추탈된 관원이 복권 되었다.
[참조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난중잡록(亂中雜錄)』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순종실록(純宗實錄)』
[네이트 백과사전 한효순 항목]
|